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Server/Sql3

[Mariadb] 우분투 Mariadb 설치 및 기본 설정 1. 우분투 서버 업데이트 및 Mariadb 설치sudo apt-get update & sudo apt-get upgradesudo apt install mariadb-server  2. Mariadb 서비스 실행sudo systemctl start mariadbsudo systemctl enable mariadb 3. Mariadb 보안 설정 sudo mysql_secure_installation   root 패스워드 설정  사용자 인증 소켓을 사용하여 root 사용자에 로그인할지-> yes :  보안 강화를 위한 비밀번호 설정 No: 자동으로 root 사용자가 Mariadb로 접속                이전에 root 비밀번호를 설정했기 때문에 변경할지 유무  익명의 사용자 계정을 제거할지 - .. 2024. 4. 26.
[Mysql] 우분투 Mysql 설정 파일 옵션 정리 일반적인 MySQL 설정 파일 위치/etc/mysql/my.cnf   보통 리눅스 운영체제에 mysql을 설치하고 나면 설정 파일이 my.cnf라는 곳에 위치하기 마련인데우분투는 디렉토리가 2개의 디렉토리를 include 하여서 사용합니다. 참고로 /etc/mysql/conf.d/는 사용자 정의 설정을 위한 디렉터리이고, /etc/mysql/mysql.conf.d/는 MySQL의 주요 구성을 위한 디렉터리입니다. MySQL 주요 구성 설정/etc/mysql/mysql.conf.d/mysqld.cnf user = mysql: MySQL 프로세스가 실행될 때 사용할 사용자를 지정합니다. 기본적으로 MySQL은 mysql 사용자로 실행됩니다.# pid-file = /var/run/mysqld/mysqld.pi.. 2024. 4. 25.
[Mysql] 우분투 Mysql 설치 및 기본설정 1. 우분투 서버 업데이트 및 Mysql-Server 설치sudo apt-get updatesudo apt-get install mysql-server  2. 보안 강화를 위한 Mysql 보안 스크립트 실행sudo mysql_secure_installation  암호 강도 테스트 (암호가 안전한지 확인) -> No를 선택하여서 암호 강도 테스를 하지 않았습니다.  익명의 사용자 계정 제거할 것인지 -> Yes를 선택하여 익명의 사용자 계정을 제거를 했습니다.  root 계정으로 원격 접속 유무 -> yes를 선택하여 root 계정으로 원격 접속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.  test database를 제거 할 것인지 -> yes를 선택하여 제거를 했습니다.  권한 테이블을 다시 로드하여서 지금까지의 변경사항을.. 2024. 4. 25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