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분투를 공부하던 중에 Local Repository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것이 실무에서 많이 쓰여서 Local Repository가 무엇인지 알아보고, 적용을 해보려고 합니다.
Local Repository란?
말 그대로 로컬 저장소입니다.
리눅스 사용자가 yum이나 apt 명령어로 패키지(프로그램) 설치 시 데이터를 가져오는 저장소로, 일반적으로는 외부에 있는 이미지 Repository에서 데이터를 가져오지만 데이터 센터와 같은 폐쇄망에서는 내부에도 Local Repository를 구성하게 됩니다.
서버 환경
- OS : ubuntu 22.04.4 LTS
- Codename : jammy
구성 절차
1. iso 마운트용 디렉토리 생성
2. WinScp로 iso 파일 업로드
3. iso 파일 마운트
4. 마운트 확인
5. APT Repository 추가
6. 패키지 업데이트
7. /etc/fstab 파일에 아래의 내용 추가 (재부팅 후 자동 마운트)
반응형
'Server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리눅스 배포판 소개: 데비안, 레드햇, 우분투, CentOS (0) | 2024.04.03 |
---|---|
[VirtualBox] 리눅스 용량 추가 방법 (1) | 2024.03.29 |
댓글